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서 우리가 직시해야 하는 건 ‘과학적 근거’다. 지난 7월 국제원자력기구는 최종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시뮬레이션 결과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오염수가 우리 바다에 도착하는 시기,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의 농도는 현재 국내해역 평균농도의 10만분의 1수준이라는 것이다. 해류 흐름상 한국보다 오염수가 먼저 도착하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 역시 '오염수 방류를 이해한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괴담’이 확산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3차 방류를 앞둔 최근까지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비과학적 괴담이 성행하고있다. 일례로, '최초 방류 3개월 후면 한반도 주변 바다가 방사능으로 뒤덮인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삼중수소는 후쿠시마 오염수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모든 원전이 국제적 가이드라인에 따라 방류하고 있다. 일본의 삼중수소 방류 예정량은 연간 22조 베크렐이다. 반면, 우리 원전 단지나 중국 해안지대 원전에서 매년 방류하는 삼중수소 양은 각각 그것의 10배, 50배다. 그럼에도 국민 10명 중 7명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반대한다는 시민단체의 설문조사 결과가 잇따른다. 정부가 국민이 느끼는 불안을 사회적 사안으로 인지하고, 괴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다만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지속적으로 일본 정부에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 국민의 우려를 반영한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는 건 과학적 접근에 반하는 조치가 아니다. 아무리 확실해 보여도 일말의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버리지 않는 게 과학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열렸던 한일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방류 점검 과정에 한국 전문가 참여’를 요구했지만, 명확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정부는 우리 국민의 불안과 수산업 피해를 일본 측에 구체적으로 전하고 요구를 관철시켜야 한다. 나아가 ALPS 필터의 점검 주기 단축, 5개 핵종의 추가 측정 방안 역시 일본과의 협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권고해야 한다.
현재 상황을 국제적 원전 거버넌스 설립 기회로 삼는 지혜도 필요하다. 이미 우리 서해바다 건너편에는 중국 원전 55기가 배치되어 있다. 23기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는 중국은 머지않아 원전을 가장 많이 가동하는 나라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따라서 정부가 주력해야 할 건 일본과 중국을 포함한 어느 국가든 원전의 안전성에 관해서는 주변 국가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투명하고 체계적인 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규범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속가능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조선 저널리즘 아카데미 3기
남소정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서 우리가 직시해야 하는 건 ‘과학적 근거’다. 지난 7월 국제원자력기구는 최종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시뮬레이션 결과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오염수가 우리 바다에 도착하는 시기,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의 농도는 현재 국내해역 평균농도의 10만분의 1수준이라는 것이다. 해류 흐름상 한국보다 오염수가 먼저 도착하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 역시 '오염수 방류를 이해한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괴담’이 확산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3차 방류를 앞둔 최근까지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비과학적 괴담이 성행하고있다. 일례로, '최초 방류 3개월 후면 한반도 주변 바다가 방사능으로 뒤덮인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삼중수소는 후쿠시마 오염수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모든 원전이 국제적 가이드라인에 따라 방류하고 있다. 일본의 삼중수소 방류 예정량은 연간 22조 베크렐이다. 반면, 우리 원전 단지나 중국 해안지대 원전에서 매년 방류하는 삼중수소 양은 각각 그것의 10배, 50배다. 그럼에도 국민 10명 중 7명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반대한다는 시민단체의 설문조사 결과가 잇따른다. 정부가 국민이 느끼는 불안을 사회적 사안으로 인지하고, 괴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다만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지속적으로 일본 정부에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 국민의 우려를 반영한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는 건 과학적 접근에 반하는 조치가 아니다. 아무리 확실해 보여도 일말의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버리지 않는 게 과학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열렸던 한일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방류 점검 과정에 한국 전문가 참여’를 요구했지만, 명확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정부는 우리 국민의 불안과 수산업 피해를 일본 측에 구체적으로 전하고 요구를 관철시켜야 한다. 나아가 ALPS 필터의 점검 주기 단축, 5개 핵종의 추가 측정 방안 역시 일본과의 협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권고해야 한다.
현재 상황을 국제적 원전 거버넌스 설립 기회로 삼는 지혜도 필요하다. 이미 우리 서해바다 건너편에는 중국 원전 55기가 배치되어 있다. 23기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는 중국은 머지않아 원전을 가장 많이 가동하는 나라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따라서 정부가 주력해야 할 건 일본과 중국을 포함한 어느 국가든 원전의 안전성에 관해서는 주변 국가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투명하고 체계적인 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규범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속가능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조선 저널리즘 아카데미 3기
남소정